20년 가까이 4조 원을 투입했어도 크게 좋아지지 않은 새만금 수질 개선을 위해 해수유통이 거론되고 있다. 5일 전북도의회와 새만금도민회의가 마련한 관련 토론회에서 참여한 전문가들은 대부분 해수유통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담수화를 포기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동안 전북에서 ‘해수유통’은 금기어처럼 여겨진 적도 있었다. 새만금 방조제가 완공되기 전부터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수질 개선의 어려움을 예상해 왔고 담수화를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왔었다. 그럴 때마다 정부와 전북도는 수질 개선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 왔고 지난 20년 가까이 많은 예산을 투입했다. 하지만 새만금 수질개선 사업 2단계가 오는 2020년 끝나가지만 현재까지 수질은 크게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승우 전북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은 “만경강 수질이 6급수를 나타내는 등 도시용지 3급수, 농업용지 4급수의 목표는 이루지 못하는 상황으로 새만금 수질 개선사업의 실패를 선언”할 것을 주장했다. 기존 방식의 수질 개선사업이 효과가 없는 것이 증명된 만큼 해수유통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것이다.
  수질뿐 아니라 생태계 회복을 통한 새만금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도 해수유통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어민들의 소득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는 어자원 고갈 문제도 해수유통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만금 방조제공사가 진행된 18년 동안 방조제 주변의 어류종수 및 개체수가 줄어 서해안 주요 어자원의 감소를 초래했다는 점은 새만금 사업이 방조제 내측은 물론 그 외해 생태환경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반증이라는 주장이다. 또 네덜란드 휘어스호의 마리나, 미국 볼사치카, 독일 할레질 등 선진국이 하구역 복원을 통해 생태계를 개선하고 있다는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새만금을 생태도시로 발전시키는 방향이 지지부진한 내부 개발의 대안이 되는 것이다.
  그동안 새만금 사업을 적극 지지하던 부인군민의 여론도 달라졌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부안군민의 60.5%가 새만금 해수유통에 찬성했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20년 간의 큰 진척이 없는 새만금 사업 대신 해수유통을 통한 어자원 회복과 생태관광 활성화라는 대안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수유통을 새만금 수질과 생태계 개선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적극 검토하는 분위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