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국과 산단 차관급협의회서 새만금 신산업클러스터 조성합의… 유치업종에 바이오·로봇 등 꼽아
인천주력산업 겹쳐 '패싱 현실화'… 경자구역 수정법 예외 등 필요성

정부가 중국과 함께 전라북도 새만금사업지역에 화장품과 로봇 등 신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박차를 가하면서 미래 먹거리가 겹치는 ‘인천 패싱’이 현실화되고 있다.

새로 선출된 송하진 전북 지사 당선인도 한중 투자협력기금 조성, 기업사찰단 파견 등 새만금을 통한 중국과의 협력 확대를 약속한 만큼 박남춘 인천시장과 지역 정치권이 발빠르게 나서 중국 시장을 지켜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지난달 12일 중국 염성시에서 ‘제2차 한중 산업단지 차관급 협의회’를 개최해 새만금 산단을 공동 개발하고 화장품·식품 등 고급소비재와 로봇·바이오 헬스케어 등 신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차관급 협의회는 한중 경제협력의 전초기지 역할을 할 산단 조성사업을 논의하기 위한 정부 간 협력채널로, 지난해 12월 한중 정상회담 이후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정부는 이를 오는 2019년에 개최되는 국장급 실무회의와 차관급 협의회 등 향후 정기적 협력채널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화장품과 바이오, 관광 등 중국 시장을 겨냥해 신산업에 투자를 진행해온 인천에는 악재다.

‘동북아 중심도시 인천’, ‘대중국 협력 중심 인천’이라는 슬로건을 통해 대중국 교류의 거점을 강조해왔지만 수도권규제 등에 발이 묶인 사이 새만금이라는 새로운 거점이 조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의 ‘인천 패싱’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시작됐다.

문 대통령은 취임초 전북 새만금 ‘바다의 날’ 행사장을 방문해 새만금을 ‘동북아 경제허브’와 ‘중국과의 경제협력 중심지’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자유구역을 통해 신산업과 대중국 교류를 미리 준비한 인천을 소외시킨 채 정부의 새만금 집중 투자도 진행됐다.

새만금에 대한 올해 예산은 지난해 대비 84% 폭증한 반면 인천 경자구역 국비 지원 예산은 전년대비 41% 줄어들었다.

또 공항과 항만 등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는 인천이 새만금에 관광객들도 뺏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각종 규제로 인천 테마파크 사업 등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새만금 신시·야미지구 관광레저용지에 부동산 투자회사 크리스탈 라군의 계열사인 ‘FRA’가 세계적 친수공간을 조성한다고 올해 초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새만금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수도권정비법을 완화하거나 경자구역에 한해 수도권정비법 적용 예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시은기자/tldms6890@joongboo.com

▲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