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사업의 최대 수혜자가 전북도민이나 도내 건설사가 아닌 재벌 토건회사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새만금개발 업체별 수주액을 보면 랭킹 20위권 이내에 전북 업체는 불과 3곳으로 수주액은 전체 공사비의 겨우 0.2%인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실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소속의 민주평화당 김종회 의원의 문제제기로 그 실체가 드러났다.

김 의원이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입수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991년 새만금 사업 착공 이후 지금까지 공사비 기준 상위 20개 토건업체의 수주액은 총 3조2,454억9,500만원.

상위 20개 업체의 수주액은 공사가 새만금사업 착공 이후 지금까지 쏟아 부은 4조5,100억원의 예산 가운데 7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동안 말로만 회자돼 왔던 새만금 사업에 대한 외지업체 잔치 논란이 명확한 데이터와 함께 현실화된 셈이다.

상위 20개 업체 중 수주액 기준 압도적 1위를 차지한 회사는 현대건설로, 무려 9,166억9,600만원을 수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규모는 새만금 전체 공사비 대비 20%를 넘는 점유율이며 2위부터 5위는 대우건설, 대림산업, 롯데건설, 현대산업개발 순이었다.

이들 수주 랭킹 탑5 업체의 수주액은 2조4,293억원으로 새만금 전체 공사 발주액의 53%에 달했다.

이어 SK, 계룡, 포스코 등이 탑10에 들었고, 수주액은 2조9,037억원으로 새만금 전체 공사 발주액의 64%였다.

새만금이 전북에서 이뤄지는 사업임에도 불구, 랭킹 20위권 내 기업 중 회사 소재지가 전북인 업체는 단 3곳에 그쳤다.

수주액 기준으로 18위 흥성(53억원), 19위 삼호토건(28억원), 20위 도영종합건설(26억원) 등으로 이들 3개 업체의 수주액은 총 107억원, 전체 새만금 공사비의 불과 0.2%였다.

문제는 전북 소재지를 제외한 이들 재벌 토건업체들이 새만금에서 수 조원의 공사를 수주했지만 지역 환원은 외면하고 있다는 점.

대형 건설사들이 새만금 사업을 오로지 돈벌이 구실로만 여길 뿐 지역사회 상생이나 환원은 안정에도 없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제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챙긴다는 옛말처럼 판은 전북에서 벌여놓고 외지에서 돈 잔치를 벌이고 있는 형국이다.

지역기업 우대기준 적용과 확대의 필요성이 현재보다도 더욱 확대되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